[팩트체크] 성탄절에 예수가 탄생한 것이 아니다?
매년 12월 25일, 전 세계가 성탄절을 기념하며 축제 분위기로 가득 찹니다. 하지만 이 날이 정말로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일일까요? 사실, 예수의 탄생일이 12월 25일이라는 확실한 증거는 없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성탄절이 왜 12월 25일로 정해졌는지, 그리고 이와 관련된 역사적, 문화적 배경을 살펴보겠습니다.
예수의 탄생일은 언제일까?
성경에서는 예수의 탄생과 관련된 몇 가지 장면을 묘사하고 있지만, 정확한 연도와 날짜는 기록되어 있지 않습니다.
- 마태복음: 예수가 헤롯왕의 통치 시기에 베들레헴에서 태어났다고 전합니다.
- 누가복음: 성모 마리아가 베들레헴에서 예수를 낳았으며, 당시 목자들이 밤에 들판에서 양떼를 지키고 있었다고 기록합니다.
그러나 이스라엘의 겨울 기후를 고려하면 목자들이 12월 말에 야외에서 활동했을 가능성은 낮습니다. 일부 학자들은 예수의 실제 탄생일이 봄이나 가을일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습니다.
왜 12월 25일이 성탄절이 되었을까?
12월 25일이 예수의 탄생일로 지정된 이유에 대해 여러 가설이 있습니다.
- 태양신 축제 기원설
로마 황제 아우렐리아누스는 동짓날인 12월 25일을 '무적의 태양신(Sol Invictus)' 탄생일로 정했습니다. 이는 빛이 어둠을 이긴다는 상징적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후 기독교가 공인되면서, 콘스탄티누스 황제가 태양신 축제와 예수 탄생을 결합해 성탄절로 만들었다는 설이 있습니다. - 수태고지와의 연관성
초기 기독교인들은 성모 마리아가 3월 25일에 대천사 가브리엘로부터 예수의 잉태를 예고받았다고 믿었습니다. 이로부터 정확히 9개월 후인 12월 25일을 예수의 탄생일로 여겼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 로마의 농신제와의 연결
성탄절이 로마의 농신제(Saturnalia)에서 비롯되었다는 설도 있습니다. 농신제는 12월 중순에 열리는 축제로, 사람들은 이 기간 동안 선물을 주고받으며 축하했습니다. 기독교가 이를 흡수해 성탄절로 정착시켰다는 것입니다. - 필로칼루스의 기록
예수의 탄생일을 12월 25일로 언급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기록은 고대 로마의 서기이자 석판 조각가 필로칼루스가 354년에 제작한 '연대기(Chronograph)'입니다. 이 연대기에는 "예수가 유대 베들레헴에서 12월 25일에 태어났다"는 기록이 있으며, 같은 날을 태양신의 탄생일로도 칭하고 있습니다.
예수의 탄생 연도도 불확실하다
우리는 예수의 탄생 연도를 기준으로 기원전(B.C.)과 기원후(A.D.)를 나누지만, 실제로 예수가 기원후 1년에 태어났다고 확정할 수는 없습니다.
전임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저서 『나자렛 예수: 유년기』에서 예수가 서기 1년보다 몇 년 앞서 태어났다고 밝혔습니다. 역사학자들은 예수의 탄생이 기원전 4년에서 6년 사이일 가능성이 높다고 추정합니다.
성탄절의 세계적 기념일화
성탄절은 16세기 서유럽에서 그레고리력을 채택한 이후 현재와 같은 날짜에 자리 잡았습니다. 그러나 동방 정교회는 여전히 율리우스력을 사용해 1월 7일에 성탄절을 기념합니다.
한국에서는 1945년 광복 이후 미군정에 의해 12월 25일이 공휴일로 지정되었습니다. 이후 1949년 이승만 정부가 공휴일 규정을 정비하며 '기독탄신일'로 명시해 법정 공휴일로 자리 잡았습니다. 성탄절은 종교적 의미를 넘어 가족과 연인, 친구와 함께하는 문화적 축제로 자리 잡아, 우리 사회에서 중요한 연말 이벤트가 되었습니다.
산타클로스의 기원
성탄절을 이야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 바로 산타클로스입니다. 산타클로스는 3~4세기 소아시아 지역(현재의 튀르키예)에서 활동한 성 니콜라스(Saint Nicholas) 주교에서 유래했습니다. 그는 가난한 이웃을 위해 몰래 선행을 베푼 것으로 유명합니다.
- 굴뚝과 선물 이야기: 니콜라스 주교는 가난 때문에 딸들을 결혼시키지 못하는 가정을 위해 밤중에 몰래 황금을 두고 갔다는 전설이 있습니다. 이는 "굴뚝에 선물을 넣는다"는 전통의 기원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현대적 산타의 모습: 19세기 미국의 만화가 토마스 네스트가 산타클로스를 삽화로 그리며 빨간 옷을 입은 산타의 이미지가 정립되었습니다. 이후 코카콜라 광고가 이를 더욱 대중화시켰습니다. 북극에서 순록 썰매를 타고 다니는 산타의 이야기는 북유럽 신화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입니다.
흥미롭게도, 노르웨이, 핀란드, 덴마크 등 북유럽 국가들은 산타클로스가 자국에 산다고 주장하며 이를 관광 마케팅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세계인의 축제 성탄
성탄절은 단순히 예수의 탄생을 축하하는 날을 넘어 다양한 역사적, 문화적 요소가 결합된 세계적 축제가 되었습니다. 예수의 실제 탄생일은 여전히 미스터리로 남아 있지만, 성탄절이 전하는 사랑과 나눔의 메시지는 시대와 종교를 넘어 사람들에게 따뜻함을 전합니다